Loading...

회장인사말

회장인사말

회장인사말

안녕하십니까
한국공동탐사협회 회장 최연우입니다.

한국공동탐사협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지반침하(지하 공동 포함)의 사회적 재난 개념은 2014년 8월 “송파구 석촌지하차도 침하” 발생 사고가 이슈화 되면서 자리잡았고, 2016년 1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법규화 되었습니다.

이슈화 초기에 지반침하 또는 공동은 원인 불명의 ”싱크홀“로 통칭되었으며 전문가・언론의 논의 과정에서 지반・지질적인 문제의 산물로 좁혀지면서 싱크홀은 시민 공포심리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지자체에서는 먼저 첨단 공동탐사기술을 이용, 지하 빈공간을 선제적으로 발견하여 함몰되기 전에 조치하는 대책을 시행하였고, 이와 병행하여 싱크홀이라는 표현을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함몰된 침하는 “지반침하”, 지하 빈공간은 “동공”으로 각각 규정하여 사용하게 하였습니다.

지하 공동탐사기술(GPR: Ground Penetrating Radar)의 국내 도입은 서울시에서 “석촌 지하차도 침하” 구간에 추가로 존재하는 공동을 찾기 2014년 11월말 일본업체를 초빙하여 시험탐사를 실시, 공동 25개소를 발견 조치한 것이 최초의 사례였습니다.

정부의 공동탐사 유도정책과 기업체의 대규모 기술개발 투자를 통해 현재 국내 공동탐사 및 분석기술은 세계 최고수준에 도달해 있으며, 2025년 6월 현재까지 1차로 기준으로 약 11만㎞에서 공동 2만8천여 개소를 발견 복구하여 지반침하 발생은 지속 감소 추세이나 최근 굴착공사장 주변에서의 대형 지반침하 사고가 증가하는 문제, 건전한 탐사업체의 부족 문제 등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합니다.

국내에 공동탐사업이 정착된지 9년째인 2024년 7월에 본 협회가 창립되어 기반을 갖추는 중에 있지만 우리 산업계가 지하안전관리정책에 따라 초창기의 비약적 발전기 이상의 수준으로 기술력 향상에 노력하여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고, 동업계의 건전한 육성, 연구개발, 홍보, 교류협력을 증진시켜 협회가 더욱 견고하게 발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한국공동탐사협회 회장 최연우

전체 검색